의학계산기 medcalc.co.kr
×

Splenic Index 계산기 (SI, 비장계수)

비장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
SI (cm²) = a(cm) × b(cm)
a: 비장의 최대 단면 영상에서 가로 직경(transverse diameter)
b: 비장의 최대 단면 영상에서 세로 직경(vertical diameter)







Grade 0: 비장이 시야에 보이지 않음
Grade I: 1–30 cm²
Grade II: 31–60 cm²
Grade III: 61–90 cm²
Grade IV: 91–120 cm²
Grade V: 121–150 cm²
Grade VI: >150 cm²

Reference :
Ishibashi H, Higuchi N, Shimamura R, Hirata Y, Kudo J, Niho Y. Sonographic assessment and grading of spleen size. J Clin Ultrasound. 1991 Jan;19(1):21-5. doi: 10.1002/jcu.1870190106. PMID: 1846375.

주의: Splenic index Grade 0–VI 는 임의로 정한 정량 지표입니다. 본 계산기 결과만으로 splenomegaly를 확정할 수 없으며, 연령/신장 (또는 체표면적) 보정 및 다른 임상 소견을 종합해 판단해야 합니다.

비장의 크기 측정
  • 비장계수 (Splenic index, SI) ≥ 91 ㎠ (Grade 4 이상)
  • 비장의 가장 긴 장축의 길이 ≥ 12 ㎝
  • 초음파 한 화면을 넘을 경우 비장 비대 의심
비장 계수 구하는 방법 (Splenic index, SI)
Demissie, S., Atalay, M., & Derso, Y. (2022). Anatomy, Sonographic Features, and Dimensional Variations of Spleen among Individuals with Different Socio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. IntechOpen. doi: 10.5772/intechopen.101900
  • 비장이 폐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Deep inspiration 동안 측정
  • SI (cm²) = a(cm) × b(cm)
  • a 는 비장의 최대 단면 영상에서의 가로 직경(transverse diameter), b세로 직경(vertical diameter)을 의미
    • Grade 0: 비장이 시야에 보이지 않음
    • Grade I: 1–30 cm²
    • Grade II: 31–60 cm²
    • Grade III: 61–90 cm²
    • Grade IV: 91–120 cm²
    • Grade V: 121–150 cm²
    • Grade VI: 150 cm² 초과